[오늘의 발견] <남원고사>, 춘향전의 숨겨진 보물, 미리보기

우리가 잘 아는 「춘향전」, 하지만 그중에서도 가장 특별한 버전이 있습니다. 바로 『남원고사』입니다. 이번에 정길수(서울대 국문학과) 교수님이 오랜 연구 끝에 완성한 『남원고사』 교주본을 소개합니다. 단순히 「춘향전」의 또 다른 버전이 아니라, 그 원형을 엿볼 수 있는 결정적인 자료이죠.

– 『남원고사』는 어떻게 발견되었을까?

『남원고사』는 원래 1860년대 서울 종로에서 필사된 책입니다. 그런데 이 귀한 책이 프랑스로 넘어가 오랫동안 잊혀졌다가, 1970년대에야 세상에 다시 모습을 드러냈죠. 명지대학교 출판부에서 영인본이 출간되면서 본격적인 연구가 시작됐고, 작품이 소개되자마자 「춘향전」의 최고봉, 「춘향전」의 결정판으로 지목되어 왔습니다.

– 『남원고사』 속 춘향은 다르다!

우리가 알고 있는 춘향은 한없이 정숙하고, 도령을 향한 사랑 하나로 모든 시련을 견디는 인물로 그려지죠. 하지만 『남원고사』의 춘향은 조금 다릅니다. 도도하고 똑 부러지며, 상황에 따라 능수능란하게 대처하는 인물로 등장합니다. 어떤 위기가 닥쳐도 머리를 써서 해결하고, 필요하면 아양도 떨고, 때로는 과감한 행동도 서슴지 않죠. 기존의 조신한 여성상이 아니라 현실적인 지혜를 가진 춘향이라는 점에서 더욱 흥미롭습니다.

– 『남원고사』가 특별한 이유

『남원고사』는 「춘향전」 중에서도 가장 긴 이야기로, 무려 8만 5천 자에 달합니다. 다른 판본보다 훨씬 많은 내용이 담겨 있죠. 이 책은 단순한 사랑 이야기를 넘어, 다양한 인간 군상을 담아낸 작품입니다. 이몽룡과 김춘향뿐만 아니라, 주변 인물들의 모습도 훨씬 입체적으로 그려져 있어요. 이렇게 다양한 캐릭터를 통해 『남원고사』는 인간의 본성을 솔직하게 보여줍니다.

– 사랑의 계약 문서, 훼손된 사랑일까?

『남원고사』에서 가장 독특한 설정 중 하나는 바로 ‘불망기(不忘記)’입니다. 쉽게 말해, 춘향이 이도령에게 사랑을 약속하는 계약서를 써 달라고 요구하는 장면이죠. 사랑이라는 게 보통 순수한 감정으로만 그려지는 것이 일반적인데, 『남원고사』에서는 사랑도 일종의 약속이고, 그 약속을 증명할 문서가 필요하다고 보는 거죠. 이 설정은 현대적 관점에서도 흥미롭습니다. 사랑이란 감정뿐만 아니라 신뢰와 책임이 있어야 한다는 걸 보여주는 대목이니까요.

– 『남원고사』의 인간관: 밤 잔 원수 없다

이 작품에서 특히 흥미로운 점은 ‘절대적인 선악’이 없다는 것입니다. 흔히 악역으로 등장하는 변학도조차 단순한 악인이 아니라, 다소 우스꽝스럽고 인간적인 모습이 있습니다. 등장인물들 역시 단순히 착하거나 나쁜 게 아니라, 상황에 따라 변하는 평범한 사람들입니다. 이는 『남원고사』가 단순한 권선징악의 이야기가 아니라, 인간의 다양한 모습을 솔직하게 보여주는 작품이라는 걸 뜻합니다.

– 『남원고사』를 읽어야 하는 이유

이번 정길수 교수님의 교주본은 단순히 『남원고사』의 원문을 소개하는 것이 아니라, 2,371개의 주석과 200여 개의 교정을 추가하여 『남원고사』의 의미를 더욱 깊이 있게 탐구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습니다. 『춘향전』을 단순한 사랑 이야기로만 알고 있던 분들에게, 『남원고사』는 색다른 시각을 제공할 것입니다.

춘향의 이야기가 단순한 전설이 아니라, 현실적인 사랑과 인간 군상의 이야기로 다가오는 순간, 『남원고사』의 진정한 매력을 발견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런 매력의 『남원고사』를 읽고 나면, 올해도 5월에 찾아올 남원 춘향제를 가보고 싶어지지 않을까요?

본문 중에서

불과 2년 전 『남원고사』를 정독하기 전까지 나는 ‘고전 중의 고전’이라는 「춘향전」의 가치를 잘 알지 못했다. 「열녀춘향수절가」라는 제목으로 널리 알려진 ‘완판 84장본’과 신재효가 정리한 판소리 「춘향가」 정도로만 알고 있던 「춘향전」의 세계와 전혀 다른 『남원고사』의 면모, 인간을 보는 독특한 서술자의 시선을 읽고서야 이 작품의 진가를 얼마간 이해하게 되었다.

『남원고사』는 초기 버전에 가까운 면모를 계승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 「춘향전」의 대표 버전이다. 1860년대 서울 종로에서 필사된 책이 프랑스 파리로 옮겨 가 있다가 1970년대에 뒤늦게 그 소재가 알려지면서 즉시 ‘「춘향전」의 최고봉’, ‘「춘향전」의 결정판’이라는 찬사를 받았다. 나는 가장 생기발랄한 ‘야성’(野性)을 지닌 ‘김춘향’의 형상, 풍성한 디테일, 우리 주변 어디서나 볼 수 있는 이웃들, 곧 절대 선인도 절대 악인도 아닌 인간 군상을 그 모습 그대로 인정하는 서술자의 시선이 좋아 『남원고사』를 「춘향전」의 최고봉이라고 생각한다. (4-5쪽)

이 세상에 매우 이상하고 신통하고 거룩하고 기특하고 패려(悖戾)하고 맹랑하고 희한한 일이 있것다. 전라도 남원(南原) 부사(府使) 이등 사또 도임시(到任時)에 자제 이도령이 연광(光)이 16세라, 얼굴은 진유자(陳孺子)요, 풍채는 두목지(杜牧之)라, 문장은 이태백(李太白)이요, 필법은 왕희지(王羲之)라. 사또 사랑이 태과(太過)하여 도임 초에 책방(冊房)에 기생(妓生) 수청(守廳) 들이자 하니 색(色)에 상할까 염려하고, 통인(通引) 수청 넣자 하니 용의(容儀) 골까 염려하여 관속(官屬)에게 분부하되 (23-24쪽)

“소녀의 성은 김(金)이요, 이름은 춘향이요, 나이는 이팔이로소이다.”

이도령 이르는 말이

“신통하다! 네 나이 이팔이라 하니, 나의 사사 십육(四四十六)과 정동갑(正同甲)이로고나.”

또 묻되

“생월생시(生月生時)는 어느 때니?”

춘향이 대답하되

“하사월(夏四月) 초팔일(初八日) 축시(丑時)로소이다.”

“어허, 공교하다! 눈 무섭다! 방자야, 네가 아까 수군수군하더니 내나와 생일을 다 일러바쳤나 보고나. 그렇지 않으면 이럴 일이 있느냐? 대저 신통기이하다, 다 맞아 오다가 똑 시(時)만 틀렸으니! 나 해산할 제 불수산(佛手散)을 급히 달여 거꾸로 먹었더면 사주 동갑(四柱同甲)될 뻔했다. 어찌 반갑지 않으며, 어찌 기쁘지 않으리오? (72쪽)

이도령은 춘향을 “여중군자(女中君子)며 화중일색(花中一色)”이라 보아 정실부인으로는 맞지 못하나 평생 사랑할 것을 맹세했고, 춘향은 처음부터 이도령을 “만고영걸”(萬古英傑)이라 여겨 인연 맺을 마음을 품었으나 이도령이 변심하지 않고 백년해로하리라는 서약서, 곧 ‘불망기’(忘記)를 받아낸 뒤에야 마음을 허락했다. 순정하고 고결한 사랑과 ‘불망기’는 잘 어울리지 않고, 따라서 한국 고전소설의 전통에서도 ‘사랑의 계약’이라는 설정은 낯선 것이지만, 기생 여주인공이 사랑의 한 축으로 등장하면서 독특한 상황이 만들어졌다. (475쪽)

김춘향은 애당초 이도령의 정실이 되겠다는 생각이 없었다. 이도령이 출세하고 요조숙녀를 정실로 맞은 다음 자신을 잊지 말고 소실로 삼아 평생을 함께한다면 사랑의 약속은 지켜지는 것이다. 이도령은 기생 춘향을 정실로 받아들이겠다는, 지키지 못할 약속은 하지 않았다. 소실로 삼아 백년해로하겠다는 약속을 굳게 했을 뿐이다. 춘향은 이별 앞에 목숨을 끊어도 좋다고 했고, 이도령은 변치 않는 자신의 마음을 믿으라고 했다. 『남원고사』는 이처럼 사랑의 서약 장면을 「춘향전」 어떤 버전보다도 길게 확대한바, ‘사랑의 약속’에 관한 소설이라 할 만하다. (476-477쪽)

본격적인 『남원고사』 주석 작업은 1970년대 김동욱·김태준·설성경 세 분 선생의 『춘향전 비교연구』(삼영사, 1979)에서 시작되어 이윤석 교수의 『남원고사 원전 비평』(보고사, 2009)과 설성경 교수의 『춘향전-남원고사』(서울대출판부, 2016)에 이르렀다. 이 책에서는 『고본 춘향전』을 비롯하여 가장 상세한 주석을 담은 『남원고사 원전 비평』 등 기존의 모든 주석서를 참조하면서 지금까지 의미와 출처가 밝혀지지 않았던 미상 구절에 대한 주석을 대폭 추가하고 기존 주석의 일부 오류를 바로잡고자 했다. 여전히 의미를 파악하지 못한 어구가 적지 않고, 혹 지나친 억측으로 기존의 올바른 주석을 오히려 해친 결과에 이르지 않았는지 조심스러운 바 있다. 잘못을 계속 수정하며 한국 고전소설의 걸작 『남원고사』를 정밀하게 독해하고 「춘향전」 해석의 폭과 깊이를 더하는 데 바탕이 되는 자료로 만들어 가고 싶다. (488-489쪽)

함께 읽어볼 만한 글

Leave a Reply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